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나리] 세계적인 찬사와 오스카 여우조연상을 수상하다.

by ㅈ ㅣ니 2023. 2. 18.
반응형

1980년대 이민 가족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가족이야기입니다. 고난과 역경을 함께 이겨내는 모습에서 진한 여운을 느낄 수 있는 작품입니다.

미나리 배경 및 줄거리

1980년 제이콥과 모니카 부부는 10년 전에 미국에 간 이민자들입니다. 제이콥은 아칸소 주에 농사를 지으며 살기로 결심하고 트레일러 집에서 새 삶을 시작합니다. 부부에겐 딸과 아들이 있는데, 아들이 심장병을 앓고 있습니다. 모니카는 아들을 위해 한인들이 많고 병원도 가까운 대도시에서 살기를 바라지만, 제이콥이 자신의 뜻대로만 하려는 것에 불만을 품습니다. 모니카는 병아리 감별사로 일을 시작했습니다. 제이콥은 본격적으로 땅을 일구지만, 다른 농부들과 달리 다우징 로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이콥 또한 아직 시골 문화에 젖어들지 못함을 상징합니다. 맞벌이를 해야 하는 집안 사정 때문에 모니카는 아이들을 돌봐줄 외할머니인 순자를 미국으로 데리고 옵니다. 하지만, 아들 데이비드는 태어나서 처음 보는 한국인 외할머니가 낯설어 불평을 합니다. 순자와 데이빗의 사이는 점점 나빠져 하루는 경기를 보는 할머니의 컵에 자신의 오줌을 넣어 할머니에게 먹입니다. 어린 마음에 데이빗은 미움을 그렇게 표현합니다. 데이빗은 당연히 부모님에게 크게 혼이 나지만, 순자는 내색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서랍에 다친 데이빗을 순자가 치료해 주며 둘의 사이는 회복하게 됩니다. 한편, 모니카는 교회에서 함께 이야기를 나눌 친구를 찾고자 교회를 방문했지만, 오히려 이민자를 불편하게 여기는 교회 분위기로 다시는 교회를 가지 않습니다. 데이빗이 순자에게 안겨 잠들던 아침에 순자는 뇌졸중으로 쓰러져 병원에 입원하게 됩니다. 이후 순자를 다시 데려와 살지만, 모니카는 아이들과 어머니까지 부양해야 하는 현실에 힘들어합니다. 더구나 남편은 온통 농사일에 몰두해 있고, 모니카의 말을 무시할 때도 있습니다. 힘들어하는 이들에게도 희망이 생깁니다. 아들 데이빗의 심장병이 호전되어 수술하지 않아도 되고, 제이콥도 한인 마트에 납품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가족들이 집을 비운 사이 아픈 몸을 이끌고 집안일을 시작한 순자는 쓰레기를 태우다 제이콥의 농작물 창고까지 태우게 됩니다. 제이콥과 모니카는 불을 끄려 하지만, 결국 저장소를 모두 태운채 불을 전소했습니다. 죄책감을 느낀 순자는 가족들을 떠나려 하지만, 데이빗이 뛰어와 말리면서 다시 모두 함께 집으로 돌아갑니다. 제이콥은 보통의 농부처럼 다우징 로드를 사용해서 농사를 시작하였고, 데이빗과 함께 냇가에서 미나리를 발견하고 수확하면서 영화는 끝이 납니다.

 

아카데미가 미나리를 주목한 이유

미나리는 미국 제작사가 만든 미국 영화입니다. 미국인들이 지닌 정서에 크게 어필하는 작품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1980년대 한국 이민자 가족의 미국 정착기로 자전적 경험이 바탕이 되었습니다. 미국은 이민자에 의해 세워졌고, 이민자들을 폭넓게 받아들이기로 유명한 국가입니다. 많은 이민자들이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찾아오는 곳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메리칸드림' 속에서도 그림자가 존재합니다. 아시아, 한국이라는 나라는 늘 소외되어 있었습니다. 

영화 속 한국인 가족의 경험은 다른 모든 이민자와 다르지 않습니다. 의지만으로 극복할 수 없는 실패를 경험하지만, 그걸 넘어서게 만든 것은 가족입니다. 미나리는 그들만의 소통 방법을 찾아가는 가족의 이야기 입니다. 그들의 언어는 영어보다 더 깊은 울림이 있습니다. 영화에서 가족의 핵심에 한국에서 온 할머니 순자가 있습니다. 순자는 가족의 소중함을 알려주는 보편적인 할머니지만, 그 방식은 온전히 한국식입니다. 한국 배우가 출연하고 한국어 대사가 주를 이루면서 한국의 정서가 그려졌지만, 이민자들의 나라 미국에서 미나리는 미국의 이야기이자 바로 자신의 이야기들입니다. 미국 영화평론가는 미국인의 정체성도 가지고 있지만, 문화적인 부분을 세세하게 잘 표현한 대단한 영화라고 말합니다. 미나리처럼 한국인은 척박하고 시련이 가득한 미국 땅에서도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고 있는 것처럼 영화의 많은 요소들이 미국인의 공감을 불러오면서 주목을 받은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